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문서류
전체 5244건
1958년도에 발행된 반포국민학교 3학년 2반 서병상 학생의 어린이 학교생활통지표이다. 표지에는 담임 및 교장 성명과 함께 부친에게 발송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지난 1년 동안의 교과학습의 발달상황, 행동의 발달상황, 특별활동상황, 신체검사상황, 출석상황, 통신 및…
제2건국 추진과제(공주시)'의 과제들을 중앙기획 추진과제 / 충남도 기획과제 / 개혁과제 / 부서별 추진과제로 나누어 제1쪽에서 적어두고 있으며, 제2쪽은 '제2건국'의 의미 및 추진배경이 적혀있다. 배경에서 윤 교수는 'IMF관리라는 국난사태는 우리 사회 전반의…
1957년 계룡면 유평리의 농가에서 작성한 위임장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읽는 방법으로 작성하였다. 문서에 의하면 토지 매도행위를 위해 일정기간동안 권한을 위임한다는 내용이 작성되어 있고, 위임자와 위탁자의 성명 및 주소 등의 개인정보가 우측에 기재되어 있다.
건륭 5년(1740, 영조16) 7월 20일, 이언세를 조산대부에 임명하는 교지. 權知承文院副正字 庚七別加
1933~34년경 공주의 교육실황을 담은 엽서 시리즈 중 하나이다. 가장 상단부에는 공주고등보통학교(現 공주고등학교)이며, 중간에는 충남도청 이전의 보상책으로 개교한 공주농업학교(現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로 충남도청 청사지에 있던 시절이다. 마지막으로 공주고등여학교는…
대한민국 공주대학교, 일본국 야마구치대학 학술교류협정서
1995년 충청남도 공주교육청에서 주최한 공주시 학생음악경연대회에서 공주금학국민학교 학생들이 리드합주1부문 동상을 받은 상장이다. 교명 아래는 지도교사명도 기재되어 있다.
1964년 한글날을 맞아 진행한 제4회 서도대회의 개최요강이다. 당시 공주 관내 초중고교생이면 누구나 참가가 가능했으며, 각종 시상일정과 글쓰기 주제 등 대회 관련 정보가 수록되었다.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중국광시대학교 한국연구소의 연구원 김주백이 위의 2개 기관과 일본 큐슈 퇴계학연구회가 공동주관한 여말선초 퇴암 김거익 선생의 연구와 학술강연회 및 행사 등에 대한 감사 인사글이다. 이어, 충남대학교 퇴암선생의 5대손이 '임벽당 의성김씨의 생애와…
1959년 공주고등학교 진우섭 학생의 물품보관증으로, 갱지 종이 뒷면에 작성하고 증빙을 위해 도장을 날인하였다. 525번에 상업교과서를 보관하였으며, 학년과 반, 번호, 성명, 날짜가 자필로 기재되어 있다.
1973.11.23, 공주문화원에서 미국 공보원의 후원을 받아 국제경제의 동향에 관한 교양강좌했다. 본 자료는 해당 강좌 전에 발행한 초청장이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작성한 나당 연합군 시기의 역사 관련 메모이다. 660년 7월의 부여 함락부터 시작하여 663년 7천 병사 파견과 당군 장수 설인귀의 웅진 도착까지의 역사가 개략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충청남도 새마을회 임원(제13차 이사회 참석대상) 명부
마곡사 기록자료 조사카드로 영산전 편액에 관한 것이다. 영산전의 편액은 세조의 친필 편액이라 추정되고 있따.
문화의 달을 맞이하여 공주문화원에서 주최한 문화강좌에 참여한 인원 명단이다.
1962.10.09, 공주문화원에서 주최하여 공산성 내 4.19학생혁명기념탑에서 거행된 제516돌 한글날 기념식 초청장이다. 오늘날 3.1 중앙공원에 위치한 4.19학생혁명기념탑은 1980년에 이전된 것으로, 그 이전에는 공산성 내 오늘날 임류각지 부근에 위치해있었다.…
1989년 공주문화원에서 배포한 결과보고서 작성요령이다.
윤여헌 교수가 자필로 옮겨적은 광서 원년(1875년) 3월 예조입안문의 번역문이다. 이 내용에 따르면 연풍현감 이용필의 후사를 마련하기 위하여 같은 성씨의 육촌 형제인 이용주의 셋째 아들 이대중을 후사로 삼고자 장계를 올렸고, 이에 조정에서 허락되어 예조에서 입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