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구 경찰서의 뒤쪽에 위치하였던 반죽동 자택
상서리1구 새마을회관 건물의 안내판에 부착되어 있는 우성지소 안내문
2010 계룡산 산신제 초대가수 공연 (6)
반포면 봉곡리에 위치한 음식점 엄마의식탁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2003년 4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93년 39회 백제문화제가 개최된 풍경을 담은 사진이다.
1971년 공산성 공북루 근처 사면에서 공북루와 금강, 금강교를 바라본 모습이다.
메모 : 공주 갑사 할아버지,할머니
공주군농촌지도소 주최의 겨울영농교육으로 1986년 1월 13일부터 2월 26일동안 진행되었다. 장소는 상서국민학교이다. 식량작목반교육이다.
2010 계룡산 산신제 설위설경 (19) - 관객
공주새마을운동 - 농민훈련 부녀자 농기계반 교육(4)
1967년 공주 금강의 정비작업을 위해 모래사장에 늘어놓은 콘크리트 블록의 모습이다.
1956년도 공주사범학교 병설중학교 남자3회, 여자6회 졸업앨범에서 발췌한 사진이다. 졸업앨범에 실릴 사진을 찍기 위해 졸업반 학생들과 선생님이 공산성에서 금강을 바라보며 촬영하였다.
1989년 7월 30일 제1회 공주군 농민후계자 하기수련회 행사가 진행되는 모습이다. 공주군 농민후계자 협의회에서 주최하였다.
2013년 백제문화학교 야외수업 답사프로그램의 이모저모를 촬영하였다.
공주시 우성면 단지리에 위치한 오백령 사우 오시수 부자 묘소를 지키는 석물의 모습이다.
1955년 공주사범학교 남자2회, 여자5회 졸업앨범에 수록된 사진으로 공산성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자료는 공산성 진남루 밑 성문에서 시가지를 바라보며 촬영한 사진이다.
유구 자카드섬유 마케팅센터 로비에 있는 전통물레 복원물이다.
고마나루 명승길(고마나루)⑫ 공주를 고향으로 둔 사람들이라면 이곳에 대한 추억이 많을 것이다. 그런데 4차선 도로가 진입로를 끊어버리면서 접근이 살짝 불편해졌다. 특히 차 없이 걷기에는.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무령왕의 금귀걸이(국보 제156호)이다. 제17회 백제문화제가 열린 1971년은 무령왕릉이 발굴된 해이기 때문에 당시 백제문화제에서는 무령왕릉유물특별전시회가 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