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사진류
전체 34414건
1959년 제8회 공주중학교 졸업앨범에 수록된 것으로, 공주중학교 3학년 1반 학생들이 3.1중앙공원(앵산공원) 인근에서 중동성당을 배경으로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1956년 귀산국민학교 제11회 졸업기념 사진이다. 사진 우측으로 학생들이 수업을 받는 본교사 건물이 보인다. 남학생들은 가쿠란, 여학생들은 한복으로 교복이 정착되었다. 사진 하단에는 '귀산국민학교 제11회졸업기념(4289.3)'이 한자로 기재되어 있다.
2001년 공주고등학교 사진으로, 공주고등학교 졸업식 장면을 촬영하였다. 교사들이 졸업식을 지켜보고 있다.
1965년 공주중 3학년 1반 재학생 일부가 공산성 북쪽 성벽에 올라 촬영한 졸업사진이다. 금강과 강 건너 현재의 공주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의 자리가 보인다. 당시에는 공주대학교가 아니라 공주결핵병원으로 사용되었다.
2003년 제49회 백제문화제 서막식 사진으로, 백제 군복을 입은 학생들이 모형 말 옆에서 기념사진을 찍고있다.
마곡국민학교에서 진행한 경로잔치 사진으로, 마을 어르신들을 교실로 초청하여 함께 수업을 듣고 식사를 하며 정을 나누는 행사였다. 선생님이 '의식개혁운동'에 관한 수업을 하고 있다.
우암 송시열 선생님 경치가 아름다워 신원사 계곡 바위에 새겼다고 전해지는 '주계' 글자
신원사와 소림사에서 약 150m 계류
유구읍 백교리에 위치한 청수회관의 외관과 상차림 모습이다.
1999년 제2회 효장학생 장학금 및 효실천유공자 표창장 수여식에서 단체로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공주새마을운동 - 78년 농업기계실수요자훈련(1)
공주시 유구읍 여드니 마을의 전경 모습을 촬영한 것이다. 강산과 녹산에 둘러쌓여 있는 아늑한 모습이 전형적인 마을의 풍경이다.
공주새마을운동 - 농민훈련 4-H회원과제반 교육(2)
1971년 제17회 백제문화제 셋째날(10월 17일) 열린 전국남녀학생 백일장대회의 모습이다.
유구읍 세동리 4H활동을 위하여 마을진입로에 세워진 표지석과 현수막이 눈에 띈다.
2012년에 고고학으로 본 웅진이라는 주제로 개최된 백제문화학교 시민학술세미나의 이모저모를 촬영하였다.
일본 가라츠시 가카라시마의 항구에는 공주와 가카라시마의 16년간 교류를 상징하는 벽화가 항구에 그려져 있다. 가장 마지막에 그린것은 2017년으로 공주영명중학교 학생들과 가카라시마 학생들이 함께 그린 벽화가 있다.
2019년 공주 문화재야행 2차 행사 중 대통사지에서 진행한 '대통사 여민락'이란 코너의 모습이다. 전통 의장대로 분한 학생들이 공연을 펼치는 모습이다.
여름철 교무실에서 업무를 보는 보룡초 교직원의 모습이다. 더운 여름철 선풍기가 돌아가고 얇은 옷을 입고 업무를 보는 선생님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연미산에서 바라본 금강을 촬영한 사진이다. 백제큰다리를 비롯한 금강의 다리들도 찍혀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