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안 보기
기록 기록유형 박물류
전체 859건
본 지도는 19세기에 규장각에서 생산한 고지도로 채색이 가미된 것이 특징이다. 고지도인 관계로 실제 거리 측정이 불가능하다.
축척: 1:5,000
, 도엽번호 NJ52-13-19-007
축척: 1:5,000
, 도엽번호 NJ52-13-18-007
2015년 국사편찬위원회 지역사 워크숍 중 규슈 기이성과 백제산성에 관한 발표회의 홍보현수막이다.
축척: 1:5,000
, 도엽번호 NJ52-13-19-029
1910년대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공주군 전도이다. 해당 지도를 통해 공주를 관통하는 도로망을 확인할 수 있다.
대정 4년(1915) 조선총독부에서 실시한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대정 8년(1919) 공주를 중심으로 펴낸 유성지역의 지도이다.
공주고등보통학교 본관 내 층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신축도면이다.
1954년 미국 육군지도국(AM에서 발행한 한반도 공주지역의 1:50,000 지도이다. 본 자료는 미군에서 작전용으로 활용하기 위해 제작한 것으로 1950년 주한 미 육군이 워싱턴 D.C의 Redrawn을 통해 발행한 작전지도에 기초한다. 해당 작전지도는 일제강점기…
1989년 공주시에 한국음악협회 지부가 창설된 것을 기념하여 제1회 한국가곡연주회 개최 티켓이다. 액면가 3,000원이 작성되어 있으며 어린이의 입장은 금지되었다.
공주여사범학교 신축에 관한 도면 중 본관 중앙부에 대한 상세 도면으로 추정된다.
축척: 1:5,000
, 도엽번호 NJ52-13-19-040
축척: 1:5,000
, 도엽번호 NJ52-13-20-032
2015년 5월 12일 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 개관을 기념 토론회를 알리는 현수막이다. 토론회는 '공주학의 미래를 말한다'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1950년대 후반 공주대학교가 공주사범대학교일 시절 봉황산 밑 교정의 신 교사 건축을 위한 도면으로 추정된다.
2002년에서 2004년 사이의 신문을 스크랩한 것으로 2002년 9월 7일자 '명문 종가는 여인이 지켜왔다' 외 88건의 기사가 스크랩되었다. 땅이름, 공주향토서화문화, 부소산성, 고구려벽화, 진경산수화, 송재선생, 마곡사, 백제, 고산사, 풍납토성, 충청감영 등에…
공주여사범학교 신축에 앞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신축공사배치도이다. 해당 도면을 통해 공주여사범학교의 대략적인 배치현황을 유추할 수 있다.
공주여사범학교 기숙사 신축에 사용된 배치도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