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일반검색

검색안내

검색결과 : 2,095
  • 형태분류  문서류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후문의 사진그림엽서이다.
        • 등록번호 : 500008223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후문의 사진그림엽서이다.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 500008223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반야교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반야교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로 들어가는 다리의 사진그림엽서이다.
        • 등록번호 : 500008222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반야교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반야교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로 들어가는 다리의 사진그림엽서이다.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반야교
      • 500008222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반야교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의 동쪽에서 바라본 마곡사 경내의 풍경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의 동쪽에서 바라본 마곡사 경내의 풍경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앞 희지천 동편에서 바라본 마곡사 경내의 사진그림엽서이다.
        • 등록번호 : 500008221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의 동쪽에서 바라본 마곡사 경내의 풍경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의 동쪽에서 바라본 마곡사 경내의 풍경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앞 희지천 동편에서 바라본 마곡사 경내의 사진그림엽서이다.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의 동쪽에서 바라본 마곡사 경내의 풍경
      • 500008221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의 동쪽에서 바라본 마곡사 경내의 풍경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풍마동 다보탑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풍마동 다보탑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풍마동 다보탑의 모습이다. 마곡사의 정전인 대광보전 앞 마당에 위치한 마곡사 5층석탑으로 금동제 상륜부는 라마식 보탑의 모양을 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현재의 위치보다 대광보전에 더 가깝게 세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 등록번호 : 500008220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풍마동 다보탑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풍마동 다보탑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풍마동 다보탑의 모습이다. 마곡사의 정전인 대광보전 앞 마당에 위치한 마곡사 5층석탑으로 금동제 상륜부는 라마식 보탑의 모양을 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현재의 위치보다 대광보전에 더 가깝게 세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풍마동 다보탑
      • 500008220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풍마동 다보탑
      • 일제강점기 전시동원엽서 - 보국 776호 공주호
        일제강점기 전시동원엽서 - 보국 776호 공주호
        일제강점기 공주군의 헌금으로 제작한 보국 776호의 모습이다. 1941년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면서 일제는 식민지 조선에 전시동원령을 선포하고 가혹한 수탈을 전개했다. 그 과정에서 각 인민에게 일정금과 각종 철제기구를 징발했고, 각 지역에서는 그 기금으로 전투기와 같은 전시물품을 제작해서 헌납했다. 엽서 속 전투기는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 해군이 주력으로…
        • 등록번호 : 500008218
        • 생산일자 : 194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일제강점기 전시동원엽서 - 보국 776호 공주호
        일제강점기 전시동원엽서 - 보국 776호 공주호
        일제강점기 공주군의 헌금으로 제작한 보국 776호의 모습이다. 1941년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면서 일제는 식민지 조선에 전시동원령을 선포하고 가혹한 수탈을 전개했다. 그 과정에서 각 인민에게 일정금과 각종 철제기구를 징발했고, 각 지역에서는 그 기금으로 전투기와 같은 전시물품을 제작해서 헌납했다. 엽서 속 전투기는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 해군이 주력으로…
    • 일제강점기 전시동원엽서 - 보국 776호 공주호
      • 500008218
        일제강점기 전시동원엽서 - 보국 776호 공주호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후문의 사진그림엽서이다.
        • 등록번호 : 500008217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후문의 사진그림엽서이다.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 500008217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 마곡사 전경 엽서
        마곡사 전경 엽서
        1929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에 수록된 마곡사 전경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엽서이다. 1911년 일제는 조선의 사찰을 정리 및 통제하기 위해 사찰령을 제정하고 전국의 31개 사찰을 본산으로 지정했다. 그 중 마곡사는 충청남도를 대표하는 본산 사찰로 지정되어 공주의 동학사와 논산의 관촉사 등 수많은 말사를 거느렸다.
        • 등록번호 : 500008216
        • 생산일자 : 1929.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마곡사 전경 엽서
        마곡사 전경 엽서
        1929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에 수록된 마곡사 전경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엽서이다. 1911년 일제는 조선의 사찰을 정리 및 통제하기 위해 사찰령을 제정하고 전국의 31개 사찰을 본산으로 지정했다. 그 중 마곡사는 충청남도를 대표하는 본산 사찰로 지정되어 공주의 동학사와 논산의 관촉사 등 수많은 말사를 거느렸다.
    • 마곡사 전경 엽서
      • 500008216
        마곡사 전경 엽서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과 선교사가옥
        일제강점기 앵산공원과 선교사가옥
        일제강점기 앵산공원과 선교사가옥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엽서의 하단에 앵산공원을 Sakurayama로 표기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등록번호 : 500008207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선교사가옥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과 선교사가옥
        일제강점기 앵산공원과 선교사가옥
        일제강점기 앵산공원과 선교사가옥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엽서의 하단에 앵산공원을 Sakurayama로 표기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과 선교사가옥
      • 500008207
        일제강점기 앵산공원과 선교사가옥
      • 일제강점기 공주심상소학교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심상소학교 엽서
        현 공주봉황초등학교의 전신인 공주공립상반소학교가 현 위치인 봉황동으로 이전했을 때의 모습이다. 상반소학교는 일제강점기 일본인이 다니던 학교로서 금학동의 현 공주고등학교 부지에 공주심상고등소학교로 개교했다. 그러다 소학교 부지가 공주고등보통학교 신축부지로 선정되면서 당시 헌병대 연병장이던 현 위치로 이전했다. 엽서 중앙에 본관과 뒤편의 기숙사를 확인할 수…
        • 등록번호 : 500008206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심상소학교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심상소학교 엽서
        현 공주봉황초등학교의 전신인 공주공립상반소학교가 현 위치인 봉황동으로 이전했을 때의 모습이다. 상반소학교는 일제강점기 일본인이 다니던 학교로서 금학동의 현 공주고등학교 부지에 공주심상고등소학교로 개교했다. 그러다 소학교 부지가 공주고등보통학교 신축부지로 선정되면서 당시 헌병대 연병장이던 현 위치로 이전했다. 엽서 중앙에 본관과 뒤편의 기숙사를 확인할 수…
    • 일제강점기 공주심상소학교 엽서
      • 500008206
        일제강점기 공주심상소학교 엽서
      • 공산성 쌍수정 엽서
        공산성 쌍수정 엽서
        공산성의 쌍수정은 조선 16대 국왕 인조가 이괄의 난을 피해 공주로 피난 햇을 때, 나무에 기대어 난의 평정소식을 들었다는 유지를 기념하기 위해 1734년(영조 10) 충청도관찰사 이수항이 건립한 누정이다. 엽서 속 모습은 오늘날과 다르게 쌍수정 아래 사적비각 쪽에서 누정으로 올라갔으며, 쌍수정 우측의 느티나무는 현재까지 남아있는 거목이다.
        • 등록번호 : 500008205
        • 생산일자 : 미상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공산성 쌍수정 엽서
        공산성 쌍수정 엽서
        공산성의 쌍수정은 조선 16대 국왕 인조가 이괄의 난을 피해 공주로 피난 햇을 때, 나무에 기대어 난의 평정소식을 들었다는 유지를 기념하기 위해 1734년(영조 10) 충청도관찰사 이수항이 건립한 누정이다. 엽서 속 모습은 오늘날과 다르게 쌍수정 아래 사적비각 쪽에서 누정으로 올라갔으며, 쌍수정 우측의 느티나무는 현재까지 남아있는 거목이다.
    • 공산성 쌍수정 엽서
      • 500008205
        공산성 쌍수정 엽서
      •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명국삼장비, 즉 유격장 남공 종덕비, 망일사적비, 위관 임제비 3개의 비석을 담은 사진엽서이다. 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이다.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인 장수 고니시(小西行長)와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를 추적하는 등의…
        • 등록번호 : 500008203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명국삼장비, 즉 유격장 남공 종덕비, 망일사적비, 위관 임제비 3개의 비석을 담은 사진엽서이다. 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이다.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인 장수 고니시(小西行長)와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를 추적하는 등의…
    •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엽서
      • 500008203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엽서
      •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문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500008187과 복본으로 추정된다.
        • 등록번호 : 500008202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문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본 자료는 500008187과 복본으로 추정된다.
    •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 500008202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 1927년 공주 방문기념 엽서
        1927년 공주 방문기념 엽서
        일제강점기 1927년 11월 21일 공주를 방문한 고관대작을 기념하기 위해 발행한 엽서로 공주의 한 민가에서 거주민들과 함께 촬영한 것으로 보인다.
        • 등록번호 : 500008201
        • 생산일자 : 1927.11.21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1927년 공주 방문기념 엽서
        1927년 공주 방문기념 엽서
        일제강점기 1927년 11월 21일 공주를 방문한 고관대작을 기념하기 위해 발행한 엽서로 공주의 한 민가에서 거주민들과 함께 촬영한 것으로 보인다.
    • 1927년 공주 방문기념 엽서
      • 500008201
        1927년 공주 방문기념 엽서
      • 공주여자사범학교 부속 소학교 교무실과 신사
        공주여자사범학교 부속 소학교 교무실과 신사
        공주여자사범학교 부속 소학교의 교무실 전경과 소학교 재학생의 공주신사를 청소하는 모습이다. 공주신사는 충남도청 뒤 봉황산 자락에 위치했다.
        • 등록번호 : 500008195
        • 생산일자 : 1938.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공주여자사범학교 부속 소학교 교무실과 신사
        공주여자사범학교 부속 소학교 교무실과 신사
        공주여자사범학교 부속 소학교의 교무실 전경과 소학교 재학생의 공주신사를 청소하는 모습이다. 공주신사는 충남도청 뒤 봉황산 자락에 위치했다.
    • 공주여자사범학교 부속 소학교 교무실과 신사
      • 500008195
        공주여자사범학교 부속 소학교 교무실과 신사
      •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금강철교 정면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금강철교 정면
        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금강철교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1933년 11월 완공된 금강교는 폭 6m에 길이 약 500m의 규모였다. 준공식 당일에는 약 700명의 손님을 비롯해 수많은 공주사람이 모였다. 당시 주민이 자발적으로 기금을 조성하여 행사를 준비했다.
        • 등록번호 : 500008192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금강철교 정면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금강철교 정면
        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금강철교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1933년 11월 완공된 금강교는 폭 6m에 길이 약 500m의 규모였다. 준공식 당일에는 약 700명의 손님을 비롯해 수많은 공주사람이 모였다. 당시 주민이 자발적으로 기금을 조성하여 행사를 준비했다.
    •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금강철교 정면
      • 500008192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금강철교 정면
      •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금강철교 측면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금강철교 측면
        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금강철교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1933년 11월 완공된 금강교는 폭 6m에 길이 약 500m의 규모였다. 준공식 당일에는 약 700명의 손님을 비롯해 수많은 공주사람이 모였다. 당시 주민이 자발적으로 기금을 조성하여 행사를 준비했다.
        • 등록번호 : 500008191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금강교
      •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금강철교 측면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금강철교 측면
        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금강철교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1933년 11월 완공된 금강교는 폭 6m에 길이 약 500m의 규모였다. 준공식 당일에는 약 700명의 손님을 비롯해 수많은 공주사람이 모였다. 당시 주민이 자발적으로 기금을 조성하여 행사를 준비했다.
    •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금강철교 측면
      • 500008191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금강철교 측면
      •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공주신사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공주신사
        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공주신사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 등록번호 : 500008190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공주신사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공주신사
        1930년대 '백제의 구도'시리즈 엽서 중 공주신사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공주신사
      • 500008190
        백제의 구도 엽서 시리즈 - 공주신사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선화당 엽서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선화당 엽서
        충남도청 도지사의 근무지인 선화당이다. 조선후기 충청감영의 충청도관찰사 근무지였던 선화당은 충남도청 시기에도 그대로 사용되었다. 이후 1932년 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한 후 선화당은 앵산공원으로 옮겨저 1938년 백제박물관(現 공주박물관) 건립에 활용되었다. 현재 웅진동 관광문화단지에 공주목 동헌과 함께 복원되어 있다.
        • 등록번호 : 500008189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선화당 엽서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선화당 엽서
        충남도청 도지사의 근무지인 선화당이다. 조선후기 충청감영의 충청도관찰사 근무지였던 선화당은 충남도청 시기에도 그대로 사용되었다. 이후 1932년 도청이 대전으로 이전한 후 선화당은 앵산공원으로 옮겨저 1938년 백제박물관(現 공주박물관) 건립에 활용되었다. 현재 웅진동 관광문화단지에 공주목 동헌과 함께 복원되어 있다.
    •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선화당 엽서
      • 500008189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선화당 엽서
      •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문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 등록번호 : 500008187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문의 모습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
      • 500008187
        일제강점기 공산성 진남문 엽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