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일반검색

검색안내

검색결과 : 1,195
  • 형태분류  문서류
  • 출처분류  기관
      • 일제강점기 공주 주교와 공산성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 주교와 공산성 엽서
        1930년대 초반 개축공사가 이뤄진 후의 공주 금강 배다리의 모습이다. 본 자료의 금강교 남단에는 학생으로 추정되는 인파가 빼곡하게 서있다. 더불어 오늘날 공산정 위치에 정체를 알 수 없는 한국식의 정자가 조성되어있다. 공산정이 1960년대 후반에 세워지는 점을 감안하면 본 자료 속 시기에는 다른 건물이 있던 것을 추정할 수 있으나 정확한 명칭은 알 수…
        • 등록번호 : 500010510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 주교와 공산성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 주교와 공산성 엽서
        1930년대 초반 개축공사가 이뤄진 후의 공주 금강 배다리의 모습이다. 본 자료의 금강교 남단에는 학생으로 추정되는 인파가 빼곡하게 서있다. 더불어 오늘날 공산정 위치에 정체를 알 수 없는 한국식의 정자가 조성되어있다. 공산정이 1960년대 후반에 세워지는 점을 감안하면 본 자료 속 시기에는 다른 건물이 있던 것을 추정할 수 있으나 정확한 명칭은 알 수…
    • 일제강점기 공주 주교와 공산성 엽서
      • 500010510
        일제강점기 공주 주교와 공산성 엽서
      • 공주지방법원과 시가지 벚꽃 엽서
        공주지방법원과 시가지 벚꽃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지법의 만개한 벚꽃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를 통해 공주지법의 봉황산 자락에서 법원 남쪽의 정원과 시가지, 앵산공원을 볼 수 있다. 아울러 오늘날 중동초등학교 부근에 아직 객사가 존재하는 것으로 볼 때, 1910년대 초중반 경으로 시기를 구분지을 수 잇다.
        • 등록번호 : 500010509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공주지방법원과 시가지 벚꽃 엽서
        공주지방법원과 시가지 벚꽃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지법의 만개한 벚꽃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본 자료를 통해 공주지법의 봉황산 자락에서 법원 남쪽의 정원과 시가지, 앵산공원을 볼 수 있다. 아울러 오늘날 중동초등학교 부근에 아직 객사가 존재하는 것으로 볼 때, 1910년대 초중반 경으로 시기를 구분지을 수 잇다.
    • 공주지방법원과 시가지 벚꽃 엽서
      • 500010509
        공주지방법원과 시가지 벚꽃 엽서
      •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엽서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엽서
        지금의 공산성 공산정 부근에서 동쪽의 금강 상류를 바라본 모습으로,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와 금강을 확인할 수 있다. 공북루 밖에 있던 민가는 철거되었으며, 전답이 개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강가에서 작업에 열중하는 아낙네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자료는 500008131, 500009284와 동일한 자료이다.
        • 등록번호 : 500010508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엽서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엽서
        지금의 공산성 공산정 부근에서 동쪽의 금강 상류를 바라본 모습으로,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와 금강을 확인할 수 있다. 공북루 밖에 있던 민가는 철거되었으며, 전답이 개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강가에서 작업에 열중하는 아낙네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자료는 500008131, 500009284와 동일한 자료이다.
    •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엽서
      • 500010508
        일제강점기 공북루와 금강 엽서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 등록번호 : 500010507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 500010507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3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 등록번호 : 500010506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1910년대 어느 여름 날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공주시가지를 촬영한 사진그림엽서이다. 봉황산 아래 충남도청에서 동서방향으로 난 욱정거리(現 감영길)와 남북으로 흐르는 제민천을 사이에 두고 충남행정의 수부(首府)답게 충남도청과 공주지방재판소(現 공주지방법원), 헌병수비대, 각 기관장의 관사, 공주자혜의원 등 여러 관공서와 상점 그리고 초가지붕…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 500010506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2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공주중동초등학교)가 들어섰다. 아울러 객사 앞 제민천 주변으로 1911년 공주군수 김갑순이 제민천을 매립해 설립한 상설시장을 확인할 수…
        • 등록번호 : 500010505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서 시가지의 북쪽 금강방향을 바라본 모습이다. 하단부에 보이는 전통 한옥은 공주목 관아의 주요시설인 객사이다. 객사는 조선 임금의 전패를(殿牌)를 모셔 놓은 건물로, 추후 공주공립보통학교(現 공주중동초등학교)가 들어섰다. 아울러 객사 앞 제민천 주변으로 1911년 공주군수 김갑순이 제민천을 매립해 설립한 상설시장을 확인할 수…
    •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 500010505
        일제강점기 공주 전경 1
      •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엽서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맞은편(現 KT&G)에 위치했던 헌병수비대이다. 이후 헌병수비대는 순사(경찰)교습소로 활용되었는데, 대한제국 시절부터 공주와 홍주, 대전지역 경찰서에 배치될 순검을 채용하기 전 훈련을 시키는 교육기관이었다. 아울러 본 자료는 500008130의 복본이다.
        • 등록번호 : 500010504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엽서
        일제강점기 충남도청 맞은편(現 KT&G)에 위치했던 헌병수비대이다. 이후 헌병수비대는 순사(경찰)교습소로 활용되었는데, 대한제국 시절부터 공주와 홍주, 대전지역 경찰서에 배치될 순검을 채용하기 전 훈련을 시키는 교육기관이었다. 아울러 본 자료는 500008130의 복본이다.
    •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엽서
      • 500010504
        일제강점기 공주수비대 엽서
      • 금강과 공산성 공북루 엽서
        금강과 공산성 공북루 엽서
        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이었으며, 금강 연안 쪽에는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부에는 작은 전답과 함께 작은 집 2채가 존재한다. 아울러 본 자료는 500007397의 복본이다.
        • 등록번호 : 500010503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금강과 공산성 공북루 엽서
        금강과 공산성 공북루 엽서
        일제강점기 현재의 미르섬의 위치에서 공산성 공북루와 쌍수정을 배경으로 촬영한 사진에 기반하여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공북루는 공산성의 북문이었으며, 금강 연안 쪽에는 나루터가 있었다. 엽서 속 공북루 주변부에는 작은 전답과 함께 작은 집 2채가 존재한다. 아울러 본 자료는 500007397의 복본이다.
    • 금강과 공산성 공북루 엽서
      • 500010503
        금강과 공산성 공북루 엽서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취원루와 초혼사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취원루와 초혼사
        현재 영명중고등학교 부근 유관순 열사 동상이 위치한 곳에는 전통적인 누정과 일제가 건립한 초혼사(招魂祀)가 보인다. 그 중 누정은 조선전기에 공주목사 홍석(洪錫)이 관아 부근에 있던 관정정(觀政亭)을 객사 동쪽으로 이건하며 세운 취원루(聚遠樓)로 추정된다. 누정 뒤로 연미산이 보이며, 우측 상단은 현재 공주시가지 전망대로 지금도 엽서 속 나무가 현존한다.…
        • 등록번호 : 500010502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취원루와 초혼사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취원루와 초혼사
        현재 영명중고등학교 부근 유관순 열사 동상이 위치한 곳에는 전통적인 누정과 일제가 건립한 초혼사(招魂祀)가 보인다. 그 중 누정은 조선전기에 공주목사 홍석(洪錫)이 관아 부근에 있던 관정정(觀政亭)을 객사 동쪽으로 이건하며 세운 취원루(聚遠樓)로 추정된다. 누정 뒤로 연미산이 보이며, 우측 상단은 현재 공주시가지 전망대로 지금도 엽서 속 나무가 현존한다.…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취원루와 초혼사
      • 500010502
        일제강점기 앵산공원의 취원루와 초혼사
      • 일제강점기 공주경찰서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경찰서 엽서
        충남도청 선화당 북측에 있던 공주경찰서의 모습이다. 공주경찰서는 그 기능이 커지면서 1922년에 제민천 영교(營橋) 부근에 있던 우편국과 가까운 곳(現 공주역사영상관 옆)으로 이전했다. 경찰서 건물은 터를 돋아 신축했으며, 정문 양측으로 작은 게시판 2기가 세워져 있다. 또, 우측으로 망루역할을 위한 높은 사다리도 세워져있다. 아울러 본 자료는…
        • 등록번호 : 500010501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경찰서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경찰서 엽서
        충남도청 선화당 북측에 있던 공주경찰서의 모습이다. 공주경찰서는 그 기능이 커지면서 1922년에 제민천 영교(營橋) 부근에 있던 우편국과 가까운 곳(現 공주역사영상관 옆)으로 이전했다. 경찰서 건물은 터를 돋아 신축했으며, 정문 양측으로 작은 게시판 2기가 세워져 있다. 또, 우측으로 망루역할을 위한 높은 사다리도 세워져있다. 아울러 본 자료는…
    • 일제강점기 공주경찰서 엽서
      • 500010501
        일제강점기 공주경찰서 엽서
      • 일제강점기 제민천 상류에서 바라본 앵산공원
        일제강점기 제민천 상류에서 바라본 앵산공원
        1920년대 초반 제민천 상류 제방길 위에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을 바라본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많은 피해를 입었던 제민천은 1918~19년 복구공사를 통해 정비가 이뤄졌다. 엽서 속 모습은 정비 직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민가 뒤 왼쪽부터 취원루로 추정되는 누정과 일제가 세운 초혼각(초혼사)를 비롯하여 미국인 선교사가 설립한 영명학교와…
        • 등록번호 : 500010500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강,하천>제민천
      • 일제강점기 제민천 상류에서 바라본 앵산공원
        일제강점기 제민천 상류에서 바라본 앵산공원
        1920년대 초반 제민천 상류 제방길 위에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을 바라본 모습이다. 1917년 대홍수로 많은 피해를 입었던 제민천은 1918~19년 복구공사를 통해 정비가 이뤄졌다. 엽서 속 모습은 정비 직후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민가 뒤 왼쪽부터 취원루로 추정되는 누정과 일제가 세운 초혼각(초혼사)를 비롯하여 미국인 선교사가 설립한 영명학교와…
    • 일제강점기 제민천 상류에서 바라본 앵산공원
      • 500010500
        일제강점기 제민천 상류에서 바라본 앵산공원
      •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일제강점기 1910년대 초반경의 공주 금강 산성나루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오늘날 금강교 남단 부근에 위치한 나루터는 1915년 금강 목교가 가설되기 이전까지 공주사람이 강의 남과 북을 오가는 중요 교통로 중 하나였다. 이곳과 함께 공북루 앞에서 나룻배를 타고 강을 오갔다. 이후 앞서 언급한 금강 목교가 1915년 가설되어 이곳에서의…
        • 등록번호 : 500010499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지리,환경>강,하천>금강
      •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일제강점기 1910년대 초반경의 공주 금강 산성나루의 모습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오늘날 금강교 남단 부근에 위치한 나루터는 1915년 금강 목교가 가설되기 이전까지 공주사람이 강의 남과 북을 오가는 중요 교통로 중 하나였다. 이곳과 함께 공북루 앞에서 나룻배를 타고 강을 오갔다. 이후 앞서 언급한 금강 목교가 1915년 가설되어 이곳에서의…
    •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 500010499
        일제강점기 (금강교 남단)산성나루 엽서
      • 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 개관식 초청장
        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 개관식 초청장
        2015.05.12에 진행될 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 개관식 초청장이다.
        • 등록번호 : 500010486
        • 생산일자 : 2015.05.01
        • 형태 : 문서류>일반문서
        • 주제 : 정치,행정>행정>공공기관
      • 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 개관식 초청장
        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 개관식 초청장
        2015.05.12에 진행될 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 개관식 초청장이다.
    • 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 개관식 초청장
      • 500010486
        공주대학교 공주학연구원 개관식 초청장
      • 제1회 공개 강연회 - 공주 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성격(개요)
        제1회 공개 강연회 - 공주 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성격(개요)
        1971년 3월 19일 오후 3시에 공주문화원에서 실시하는 제1회 공개강연회를 위하여 공주교육대학 박용진 교수가 만든 강의안을 토대로 공주문화원에서 만든 공문의 기안문이다. 표지 첫면 하단부에 결재표가 기재되어 있고, 기안자의 도장이 찍혀 있다. 이날에는 박용진 교수 외에 나도승교수도 공주지역개발의 문제라는 주제로 강의가 예정되어 있었다.
        • 등록번호 : 500010512
        • 생산일자 : 1971.03.00
        • 형태 : 문서류>일반문서
        • 주제 : 역사,유적,인물>역사>총론(혼합)
      • 제1회 공개 강연회 - 공주 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성격(개요)
        제1회 공개 강연회 - 공주 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성격(개요)
        1971년 3월 19일 오후 3시에 공주문화원에서 실시하는 제1회 공개강연회를 위하여 공주교육대학 박용진 교수가 만든 강의안을 토대로 공주문화원에서 만든 공문의 기안문이다. 표지 첫면 하단부에 결재표가 기재되어 있고, 기안자의 도장이 찍혀 있다. 이날에는 박용진 교수 외에 나도승교수도 공주지역개발의 문제라는 주제로 강의가 예정되어 있었다.
    • 제1회 공개 강연회 - 공주 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성격(개요)
      • 500010512
        제1회 공개 강연회 - 공주 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성격(개요)
      • 지방문화육성을 위한 문화예술강좌 - 민중주의는 왜 사상계에서 사라졌는가
        지방문화육성을 위한 문화예술강좌 - 민중주의는 왜 사상계에서 사라졌는가
        공주문화원에서 실시하는 지방문화육성을 위한 문화예술강좌로 한성대학교 원형갑 교수가 '민중주의는 왜 사상계에서 사라졌는가'라는 주제로 실시한 강좌의 원고(교재)이다.
        • 등록번호 : 500010511
        • 생산일자 : 1989.06.00
        • 형태 : 문서류>일반문서
        • 주제 : 정치,행정>정치>총론(혼합)
      • 지방문화육성을 위한 문화예술강좌 - 민중주의는 왜 사상계에서 사라졌는가
        지방문화육성을 위한 문화예술강좌 - 민중주의는 왜 사상계에서 사라졌는가
        공주문화원에서 실시하는 지방문화육성을 위한 문화예술강좌로 한성대학교 원형갑 교수가 '민중주의는 왜 사상계에서 사라졌는가'라는 주제로 실시한 강좌의 원고(교재)이다.
    • 지방문화육성을 위한 문화예술강좌 - 민중주의는 왜 사상계에서 사라졌는가
      • 500010511
        지방문화육성을 위한 문화예술강좌 - 민중주의는 왜 사상계에서 사라졌는가
      • 2001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2001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1. 기본운영 현황-문화원의 지표, 본원 운영기구 및 사업체계 도표, 본원 이사 및 운영위원 명단, 본원 직원 명단, 본원 사업지표, 본원 운영방침, 본원 연혁, 중요대외 기관으로부터 감사패 및 표창장을 받은 실적표, 본원 시설 현황(중요비품대장), 원가(탑의 노래), 원사 전경도, 원사 평면도 / 2. 2001년도 사업계획-본원 설립의 목적과 의의,…
        • 등록번호 : 500010485
        • 생산일자 : 2001.01.00
        • 형태 : 문서류>일반문서
        • 주제 : 정치,행정>행정>공공단체
      • 2001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2001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1. 기본운영 현황-문화원의 지표, 본원 운영기구 및 사업체계 도표, 본원 이사 및 운영위원 명단, 본원 직원 명단, 본원 사업지표, 본원 운영방침, 본원 연혁, 중요대외 기관으로부터 감사패 및 표창장을 받은 실적표, 본원 시설 현황(중요비품대장), 원가(탑의 노래), 원사 전경도, 원사 평면도 / 2. 2001년도 사업계획-본원 설립의 목적과 의의,…
    • 2001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 500010485
        2001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 2000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2000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1. 기본운영 현황-문화원의 지표, 본원 운영기구 및 사업체계 도표, 본원 이사 및 운영위원 명단, 본원 직원 명단, 본원 사업지표, 본원 운영방침, 본원 연혁, 중요대외 기관으로부터 감사패 및 표창장을 받은 실적표, 본원 시설 현황(중요비품대장), 원가(탑의 노래), 원사 전경도, 원사 평면도 / 2. 2000년도 사업계획-본원 설립의 목적과 의의,…
        • 등록번호 : 500010484
        • 생산일자 : 2000.01.00
        • 형태 : 문서류>일반문서
        • 주제 : 정치,행정>행정>공공단체
      • 2000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2000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1. 기본운영 현황-문화원의 지표, 본원 운영기구 및 사업체계 도표, 본원 이사 및 운영위원 명단, 본원 직원 명단, 본원 사업지표, 본원 운영방침, 본원 연혁, 중요대외 기관으로부터 감사패 및 표창장을 받은 실적표, 본원 시설 현황(중요비품대장), 원가(탑의 노래), 원사 전경도, 원사 평면도 / 2. 2000년도 사업계획-본원 설립의 목적과 의의,…
    • 2000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 500010484
        2000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 1999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1999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1. 기본운영 현황-문화원의 지표, 본원 운영기구 및 사업체계 도표, 본원 이사 및 운영위원 명단, 본원 직원 명단, 본원 사업지표, 본원 운영방침, 본원 연혁, 중요대외 기관으로부터 감사패 및 표창장을 받은 실적표, 본원 시설 현황(중요비품대장), 원가(탑의 노래), 원사 전경도, 원사 평면도 / 2. 1999년도 사업계획-본원 설립의 목적과 의의,…
        • 등록번호 : 500010483
        • 생산일자 : 1999.01.00
        • 형태 : 문서류>일반문서
        • 주제 : 정치,행정>행정>공공단체
      • 1999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1999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1. 기본운영 현황-문화원의 지표, 본원 운영기구 및 사업체계 도표, 본원 이사 및 운영위원 명단, 본원 직원 명단, 본원 사업지표, 본원 운영방침, 본원 연혁, 중요대외 기관으로부터 감사패 및 표창장을 받은 실적표, 본원 시설 현황(중요비품대장), 원가(탑의 노래), 원사 전경도, 원사 평면도 / 2. 1999년도 사업계획-본원 설립의 목적과 의의,…
    • 1999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 500010483
        1999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 1998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1998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1. 기본운영 현황-문화원의 지표, 본원 운영기구 및 사업체계 도표, 본원 이사 및 운영위원 명단, 본원 직원 명단, 본원 사업지표, 본원 운영방침, 본원 연혁, 중요대외 기관으로부터 감사패 및 표창장을 받은 실적표, 본원 시설 현황(중요비품대장), 원가(탑의 노래), 원사 전경도, 원사 평면도 / 2. 1998년도 사업계획-본원 설립의 목적과 의의,…
        • 등록번호 : 500010482
        • 생산일자 : 1998.01.00
        • 형태 : 문서류>일반문서
        • 주제 : 정치,행정>행정>공공단체
      • 1998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1998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1. 기본운영 현황-문화원의 지표, 본원 운영기구 및 사업체계 도표, 본원 이사 및 운영위원 명단, 본원 직원 명단, 본원 사업지표, 본원 운영방침, 본원 연혁, 중요대외 기관으로부터 감사패 및 표창장을 받은 실적표, 본원 시설 현황(중요비품대장), 원가(탑의 노래), 원사 전경도, 원사 평면도 / 2. 1998년도 사업계획-본원 설립의 목적과 의의,…
    • 1998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 500010482
        1998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 1997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1997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1. 기본운영 현황-문화원의 지표, 본원 운영기구 및 사업체계 도표, 본원 이사 및 운영위원 명단, 본원 직원 명단, 본원 사업지표, 본원 운영방침, 본원 연혁, 중요대외 기관으로부터 감사패 및 표창장을 받은 실적표, 본원 시설 현황(중요비품대장), 원가(탑의 노래), 원사 전경도, 원사 평면도 / 2. 1997년도 사업계획-본원 설립의 목적과 의의,…
        • 등록번호 : 500010481
        • 생산일자 : 1997.01.00
        • 형태 : 문서류>일반문서
        • 주제 : 정치,행정>행정>공공단체
      • 1997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1997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1. 기본운영 현황-문화원의 지표, 본원 운영기구 및 사업체계 도표, 본원 이사 및 운영위원 명단, 본원 직원 명단, 본원 사업지표, 본원 운영방침, 본원 연혁, 중요대외 기관으로부터 감사패 및 표창장을 받은 실적표, 본원 시설 현황(중요비품대장), 원가(탑의 노래), 원사 전경도, 원사 평면도 / 2. 1997년도 사업계획-본원 설립의 목적과 의의,…
    • 1997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
      • 500010481
        1997년도 공주문화원 기본운영 및 사업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