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일반검색

검색안내

검색결과 : 790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 공주기류조합의 전답과 작업 광경
        공주기류조합의 전답과 작업 광경
        일제강점기 공주의 특산품은 버들세공품이었다. 공주를 방문해 매일신보에 기행문을 연재한 富春山人(민태원)은 공주의 명물 4가지로 쌍수산성과 김갑순, 감, 버들세공품을 꼽았다. 주로 제민천 하류와 금강가에 버들이 많았는데, 버들전답이 약 30보라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하고개 인근 피천마을에 거주한 천민이 주요경작자로서, 수확한 버들을 현재의 공주보 부근…
        • 등록번호 : 500008242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공주기류조합의 전답과 작업 광경
        공주기류조합의 전답과 작업 광경
        일제강점기 공주의 특산품은 버들세공품이었다. 공주를 방문해 매일신보에 기행문을 연재한 富春山人(민태원)은 공주의 명물 4가지로 쌍수산성과 김갑순, 감, 버들세공품을 꼽았다. 주로 제민천 하류와 금강가에 버들이 많았는데, 버들전답이 약 30보라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하고개 인근 피천마을에 거주한 천민이 주요경작자로서, 수확한 버들을 현재의 공주보 부근…
    • 공주기류조합의 전답과 작업 광경
      • 500008242
        공주기류조합의 전답과 작업 광경
      • 일제강점기 공주자혜병원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자혜병원 엽서
        1910년 설립된 관립공주자혜의원은 현 공주의료원의 전신이다. 당시 각 도마다 주요도시에 건립한 국립병원으로, 공주자혜의원은 설립된 지 한 달 만에 환자수가 수천 명에 육박하여 공주군청의 건물 일부를 활용하기도 했다. 엽서 속 모습은 1912년 북쪽에 폐가옥을 인수해 본관과 병실 증개축 공사가 이뤄진 후로 추정된다. 증개축 공사 시 의원의 정문도 북쪽으로…
        • 등록번호 : 500008241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자혜병원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자혜병원 엽서
        1910년 설립된 관립공주자혜의원은 현 공주의료원의 전신이다. 당시 각 도마다 주요도시에 건립한 국립병원으로, 공주자혜의원은 설립된 지 한 달 만에 환자수가 수천 명에 육박하여 공주군청의 건물 일부를 활용하기도 했다. 엽서 속 모습은 1912년 북쪽에 폐가옥을 인수해 본관과 병실 증개축 공사가 이뤄진 후로 추정된다. 증개축 공사 시 의원의 정문도 북쪽으로…
    • 일제강점기 공주자혜병원 엽서
      • 500008241
        일제강점기 공주자혜병원 엽서
      •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엽서
        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 등록번호 : 500008240
        • 생산일자 : 191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엽서
        광복루는 본래 공산성 북쪽 공북루 부근에 있던 조선후기 충청병영인 중군영의 문루로 그 이름은 '해상루(海桑樓)'였다. 중군영이 폐지되며 여러 건물이 해체 및 이건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제1대 조선총독 테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에 의해 이름도 '웅심각(雄心閣)'이라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 공주를 방문한 김구 선생이 다시 '광복루(光復樓)'로 바꾸어…
    •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엽서
      • 500008240
        일제강점기 공산성 웅심각 엽서
      •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표삼도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표삼도 엽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모습은 사라지고 입구부터 대신궁을 알리는 표참도와 일본식 가등, 도리이의 모습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 등록번호 : 500008228
        • 생산일자 : 194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표삼도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표삼도 엽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모습은 사라지고 입구부터 대신궁을 알리는 표참도와 일본식 가등, 도리이의 모습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표삼도 엽서
      • 500008228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표삼도 엽서
      •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배전 측면부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배전 측면부 엽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모습은 사라지고 입구부터 대신궁을 알리는 표참도와 일본식 가등, 도리이의 모습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 등록번호 : 500008227
        • 생산일자 : 194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배전 측면부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배전 측면부 엽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모습은 사라지고 입구부터 대신궁을 알리는 표참도와 일본식 가등, 도리이의 모습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배전 측면부 엽서
      • 500008227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배전 측면부 엽서
      •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본전과 보물전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본전과 보물전 엽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모습은 사라지고 입구부터 대신궁을 알리는 표참도와 일본식 가등, 도리이의 모습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 등록번호 : 500008226
        • 생산일자 : 194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본전과 보물전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본전과 보물전 엽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모습은 사라지고 입구부터 대신궁을 알리는 표참도와 일본식 가등, 도리이의 모습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본전과 보물전 엽서
      • 500008226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본전과 보물전 엽서
      •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전경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전경 엽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모습은 사라지고 입구부터 대신궁을 알리는 표참도와 일본식 가등, 도리이의 모습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 등록번호 : 500008225
        • 생산일자 : 194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전경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전경 엽서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있던 대신궁은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주변부의 영명학교 확장과 앵산공원 공원화의 진전으로 충남도청(現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의 뒤편 봉황산 기슭으로 이전했다. 앵산공원에 있던 작고 남루한 모습은 사라지고 입구부터 대신궁을 알리는 표참도와 일본식 가등, 도리이의 모습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전경 엽서
      • 500008225
        일제강점기 공주신사 전경 엽서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부도군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부도군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내 부도군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 등록번호 : 500008224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부도군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부도군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내 부도군을 배경으로 제작한 사진그림엽서이다.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부도군
      • 500008224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부도군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후문의 사진그림엽서이다.
        • 등록번호 : 500008223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후문의 사진그림엽서이다.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 500008223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반야교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반야교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로 들어가는 다리의 사진그림엽서이다.
        • 등록번호 : 500008222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반야교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반야교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로 들어가는 다리의 사진그림엽서이다.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반야교
      • 500008222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반야교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의 동쪽에서 바라본 마곡사 경내의 풍경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의 동쪽에서 바라본 마곡사 경내의 풍경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앞 희지천 동편에서 바라본 마곡사 경내의 사진그림엽서이다.
        • 등록번호 : 500008221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의 동쪽에서 바라본 마곡사 경내의 풍경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의 동쪽에서 바라본 마곡사 경내의 풍경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앞 희지천 동편에서 바라본 마곡사 경내의 사진그림엽서이다.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의 동쪽에서 바라본 마곡사 경내의 풍경
      • 500008221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연천의 동쪽에서 바라본 마곡사 경내의 풍경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풍마동 다보탑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풍마동 다보탑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풍마동 다보탑의 모습이다. 마곡사의 정전인 대광보전 앞 마당에 위치한 마곡사 5층석탑으로 금동제 상륜부는 라마식 보탑의 모양을 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현재의 위치보다 대광보전에 더 가깝게 세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 등록번호 : 500008220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풍마동 다보탑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풍마동 다보탑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풍마동 다보탑의 모습이다. 마곡사의 정전인 대광보전 앞 마당에 위치한 마곡사 5층석탑으로 금동제 상륜부는 라마식 보탑의 모양을 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현재의 위치보다 대광보전에 더 가깝게 세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풍마동 다보탑
      • 500008220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풍마동 다보탑
      • 일제강점기 전시동원엽서 - 보국 776호 공주호
        일제강점기 전시동원엽서 - 보국 776호 공주호
        일제강점기 공주군의 헌금으로 제작한 보국 776호의 모습이다. 1941년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면서 일제는 식민지 조선에 전시동원령을 선포하고 가혹한 수탈을 전개했다. 그 과정에서 각 인민에게 일정금과 각종 철제기구를 징발했고, 각 지역에서는 그 기금으로 전투기와 같은 전시물품을 제작해서 헌납했다. 엽서 속 전투기는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 해군이 주력으로…
        • 등록번호 : 500008218
        • 생산일자 : 194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일제강점기 전시동원엽서 - 보국 776호 공주호
        일제강점기 전시동원엽서 - 보국 776호 공주호
        일제강점기 공주군의 헌금으로 제작한 보국 776호의 모습이다. 1941년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면서 일제는 식민지 조선에 전시동원령을 선포하고 가혹한 수탈을 전개했다. 그 과정에서 각 인민에게 일정금과 각종 철제기구를 징발했고, 각 지역에서는 그 기금으로 전투기와 같은 전시물품을 제작해서 헌납했다. 엽서 속 전투기는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 해군이 주력으로…
    • 일제강점기 전시동원엽서 - 보국 776호 공주호
      • 500008218
        일제강점기 전시동원엽서 - 보국 776호 공주호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후문의 사진그림엽서이다.
        • 등록번호 : 500008217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1930년대 '백제의 고도'시리즈 엽서 중 마곡사 후문의 사진그림엽서이다.
    •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 500008217
        백제의 고도 엽서 시리즈 - 공주 마곡사 후문
      • 마곡사 전경 엽서
        마곡사 전경 엽서
        1929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에 수록된 마곡사 전경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엽서이다. 1911년 일제는 조선의 사찰을 정리 및 통제하기 위해 사찰령을 제정하고 전국의 31개 사찰을 본산으로 지정했다. 그 중 마곡사는 충청남도를 대표하는 본산 사찰로 지정되어 공주의 동학사와 논산의 관촉사 등 수많은 말사를 거느렸다.
        • 등록번호 : 500008216
        • 생산일자 : 1929.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마곡사 전경 엽서
        마곡사 전경 엽서
        1929년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에 수록된 마곡사 전경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한 사진엽서이다. 1911년 일제는 조선의 사찰을 정리 및 통제하기 위해 사찰령을 제정하고 전국의 31개 사찰을 본산으로 지정했다. 그 중 마곡사는 충청남도를 대표하는 본산 사찰로 지정되어 공주의 동학사와 논산의 관촉사 등 수많은 말사를 거느렸다.
    • 마곡사 전경 엽서
      • 500008216
        마곡사 전경 엽서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과 선교사가옥
        일제강점기 앵산공원과 선교사가옥
        일제강점기 앵산공원과 선교사가옥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엽서의 하단에 앵산공원을 Sakurayama로 표기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등록번호 : 500008207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선교사가옥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과 선교사가옥
        일제강점기 앵산공원과 선교사가옥
        일제강점기 앵산공원과 선교사가옥을 사진그림엽서로 제작한 것이다. 엽서의 하단에 앵산공원을 Sakurayama로 표기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일제강점기 앵산공원과 선교사가옥
      • 500008207
        일제강점기 앵산공원과 선교사가옥
      • 일제강점기 공주심상소학교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심상소학교 엽서
        현 공주봉황초등학교의 전신인 공주공립상반소학교가 현 위치인 봉황동으로 이전했을 때의 모습이다. 상반소학교는 일제강점기 일본인이 다니던 학교로서 금학동의 현 공주고등학교 부지에 공주심상고등소학교로 개교했다. 그러다 소학교 부지가 공주고등보통학교 신축부지로 선정되면서 당시 헌병대 연병장이던 현 위치로 이전했다. 엽서 중앙에 본관과 뒤편의 기숙사를 확인할 수…
        • 등록번호 : 500008206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기타
      • 일제강점기 공주심상소학교 엽서
        일제강점기 공주심상소학교 엽서
        현 공주봉황초등학교의 전신인 공주공립상반소학교가 현 위치인 봉황동으로 이전했을 때의 모습이다. 상반소학교는 일제강점기 일본인이 다니던 학교로서 금학동의 현 공주고등학교 부지에 공주심상고등소학교로 개교했다. 그러다 소학교 부지가 공주고등보통학교 신축부지로 선정되면서 당시 헌병대 연병장이던 현 위치로 이전했다. 엽서 중앙에 본관과 뒤편의 기숙사를 확인할 수…
    • 일제강점기 공주심상소학교 엽서
      • 500008206
        일제강점기 공주심상소학교 엽서
      • 공산성 쌍수정 엽서
        공산성 쌍수정 엽서
        공산성의 쌍수정은 조선 16대 국왕 인조가 이괄의 난을 피해 공주로 피난 햇을 때, 나무에 기대어 난의 평정소식을 들었다는 유지를 기념하기 위해 1734년(영조 10) 충청도관찰사 이수항이 건립한 누정이다. 엽서 속 모습은 오늘날과 다르게 쌍수정 아래 사적비각 쪽에서 누정으로 올라갔으며, 쌍수정 우측의 느티나무는 현재까지 남아있는 거목이다.
        • 등록번호 : 500008205
        • 생산일자 : 미상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공산성 쌍수정 엽서
        공산성 쌍수정 엽서
        공산성의 쌍수정은 조선 16대 국왕 인조가 이괄의 난을 피해 공주로 피난 햇을 때, 나무에 기대어 난의 평정소식을 들었다는 유지를 기념하기 위해 1734년(영조 10) 충청도관찰사 이수항이 건립한 누정이다. 엽서 속 모습은 오늘날과 다르게 쌍수정 아래 사적비각 쪽에서 누정으로 올라갔으며, 쌍수정 우측의 느티나무는 현재까지 남아있는 거목이다.
    • 공산성 쌍수정 엽서
      • 500008205
        공산성 쌍수정 엽서
      •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명국삼장비, 즉 유격장 남공 종덕비, 망일사적비, 위관 임제비 3개의 비석을 담은 사진엽서이다. 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이다.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인 장수 고니시(小西行長)와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를 추적하는 등의…
        • 등록번호 : 500008203
        • 생산일자 : 1920.00.00
        • 형태 : 문서류>서신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공산성
      •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엽서
        일제강점기 공산성 내에 있는 명국삼장비, 즉 유격장 남공 종덕비, 망일사적비, 위관 임제비 3개의 비석을 담은 사진엽서이다. 명국삼장비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8년 명나라의 세 장수 제독 이공, 위관 임제, 유격장 남방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된 것이다. 명의 장군 이제독이 일본인 장수 고니시(小西行長)와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를 추적하는 등의…
    •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엽서
      • 500008203
        일제강점기 공산성 명국삼장비 엽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