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일반검색

검색안내

검색결과 : 139
  • 시대분류  일제강점기
  • 출처분류  업체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0. 불감세부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0. 불감세부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현실 벽면에 조형된 등감의 모습을 자세히 촬영한 것이다.
        • 등록번호 : 200057170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0. 불감세부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0. 불감세부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현실 벽면에 조형된 등감의 모습을 자세히 촬영한 것이다.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0. 불감세부
      • 200057170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0. 불감세부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9. 현실 내 북벽에 위치한 현무벽화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9. 현실 내 북벽에 위치한 현무벽화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현실 북벽에 그려진 현무벽화의 모습이다.
        • 등록번호 : 200057169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9. 현실 내 북벽에 위치한 현무벽화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9. 현실 내 북벽에 위치한 현무벽화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현실 북벽에 그려진 현무벽화의 모습이다.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9. 현실 내 북벽에 위치한 현무벽화
      • 200057169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9. 현실 내 북벽에 위치한 현무벽화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8. 현실 내 남벽에 위치한 주작벽화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8. 현실 내 남벽에 위치한 주작벽화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현실 남벽에 그려진 주작벽화의 모습이다.
        • 등록번호 : 200057168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8. 현실 내 남벽에 위치한 주작벽화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8. 현실 내 남벽에 위치한 주작벽화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현실 남벽에 그려진 주작벽화의 모습이다.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8. 현실 내 남벽에 위치한 주작벽화
      • 200057168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8. 현실 내 남벽에 위치한 주작벽화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7. 현실 내 서벽에 위치한 백호벽화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7. 현실 내 서벽에 위치한 백호벽화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 서벽에 그려진 백호벽화의 모습이다.
        • 등록번호 : 200057167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7. 현실 내 서벽에 위치한 백호벽화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7. 현실 내 서벽에 위치한 백호벽화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 서벽에 그려진 백호벽화의 모습이다.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7. 현실 내 서벽에 위치한 백호벽화
      • 200057167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7. 현실 내 서벽에 위치한 백호벽화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6. 현실 내 동벽에 위치한 청룡벽화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6. 현실 내 동벽에 위치한 청룡벽화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 동벽에 그려진 청룡벽화의 모습이다.
        • 등록번호 : 200057166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6. 현실 내 동벽에 위치한 청룡벽화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6. 현실 내 동벽에 위치한 청룡벽화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 동벽에 그려진 청룡벽화의 모습이다.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6. 현실 내 동벽에 위치한 청룡벽화
      • 200057166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6. 현실 내 동벽에 위치한 청룡벽화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5. 연도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5. 연도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에서 연도를 촬영한 자료이다.
        • 등록번호 : 200057165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5. 연도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5. 연도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에서 연도를 촬영한 자료이다.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5. 연도
      • 200057165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5. 연도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4. 연도전벽내측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4. 연도전벽내측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연도 내에서 촬영한 전벽 내측부의 모습이다. 벽돌의 문양이 온전하게 남아있는 것이 특징이다.
        • 등록번호 : 200057164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4. 연도전벽내측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4. 연도전벽내측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연도 내에서 촬영한 전벽 내측부의 모습이다. 벽돌의 문양이 온전하게 남아있는 것이 특징이다.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4. 연도전벽내측
      • 200057164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4. 연도전벽내측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3. 연도전벽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3. 연도전벽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연도의 앞쪽 벽면 모습이다. 배수관과 함께 연도의 벽면 보존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 등록번호 : 200057163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3. 연도전벽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3. 연도전벽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연도의 앞쪽 벽면 모습이다. 배수관과 함께 연도의 벽면 보존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3. 연도전벽
      • 200057163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3. 연도전벽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2. 배수관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2. 배수관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배수관의 모습이다. 벽돌로 배수관이 조형된 모습에서 6호분이 전축분이라는 특성을 엿 볼 수 있다.
        • 등록번호 : 200057162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2. 배수관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2. 배수관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배수관의 모습이다. 벽돌로 배수관이 조형된 모습에서 6호분이 전축분이라는 특성을 엿 볼 수 있다.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2. 배수관
      • 200057162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2. 배수관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 전경모습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 전경모습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 중심의 발굴조사가 진행된 후 정비가 이뤄진 고분군 일원의 모습이다. 오늘날 공주보가 조성된 금강 하류부근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무령왕릉 동북쪽 사면에서 촬영한 사진으로 추정된다.
        • 등록번호 : 200057161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 전경모습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 전경모습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 중심의 발굴조사가 진행된 후 정비가 이뤄진 고분군 일원의 모습이다. 오늘날 공주보가 조성된 금강 하류부근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무령왕릉 동북쪽 사면에서 촬영한 사진으로 추정된다.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 전경모습
      • 200057161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 전경모습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해설문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해설문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이 발굴을 진행한 후 정돈된 모습을 촬영하여 사진집으로 간행한 자료의 해설문이다. 경부자은이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본 해설문에 따르면, '송산리 제6호분은 공주읍의 서북쪽 1개 지점에 있으며, 부근 일대 구릉은 백제시대에 고분지대를 이룬 곳이다. 1933.08.01에 발견된 이 고분은 전축분의 형상이며…
        • 등록번호 : 200057160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사진류>사진 기타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해설문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해설문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이 발굴을 진행한 후 정돈된 모습을 촬영하여 사진집으로 간행한 자료의 해설문이다. 경부자은이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본 해설문에 따르면, '송산리 제6호분은 공주읍의 서북쪽 1개 지점에 있으며, 부근 일대 구릉은 백제시대에 고분지대를 이룬 곳이다. 1933.08.01에 발견된 이 고분은 전축분의 형상이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해설문
      • 200057160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해설문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봉투)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봉투)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이 이뤄진 후 정돈된 모습을 촬영하여 사진집으로 간행한 자료의 봉투이다. 공주에 있는 사토사진관(佐藤사진관)에서 발행하였다. 황색에 은박으로 문양 및 글자를 입혔으며, 앞면에는 '공주송산리제6호분 백제왕릉사진'이라고 쓰여 있다.
        • 등록번호 : 200057159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사진류>사진 기타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봉투)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봉투)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이 이뤄진 후 정돈된 모습을 촬영하여 사진집으로 간행한 자료의 봉투이다. 공주에 있는 사토사진관(佐藤사진관)에서 발행하였다. 황색에 은박으로 문양 및 글자를 입혔으며, 앞면에는 '공주송산리제6호분 백제왕릉사진'이라고 쓰여 있다.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봉투)
      • 200057159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봉투)
      • 1910년대 공주 마곡사의 모습
        1910년대 공주 마곡사의 모습
        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전면부에 수록된 도내 각지역의 대표사진 중 공주 마곡사의 모습이다. 본 자료의 제목에 따르면 '마곡사(충청남도 내 총본산)-소재지 공주군 사곡면'이라고 적혀있다. 대웅보전과 대광보전, 마곡사 다보탑의 모습이 산세를 따라 이어진다. 자료 좌측 부근에 위치한 건물은 오늘날 멸실된 건물이고, 다보탑의 위치는 오늘날 위치와 달리…
        • 등록번호 : 200057359
        • 생산일자 : 1917.00.00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불교유적>마곡사
      • 1910년대 공주 마곡사의 모습
        1910년대 공주 마곡사의 모습
        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전면부에 수록된 도내 각지역의 대표사진 중 공주 마곡사의 모습이다. 본 자료의 제목에 따르면 '마곡사(충청남도 내 총본산)-소재지 공주군 사곡면'이라고 적혀있다. 대웅보전과 대광보전, 마곡사 다보탑의 모습이 산세를 따라 이어진다. 자료 좌측 부근에 위치한 건물은 오늘날 멸실된 건물이고, 다보탑의 위치는 오늘날 위치와 달리…
    • 1910년대 공주 마곡사의 모습
      • 200057359
        1910년대 공주 마곡사의 모습
      • 1910년대 공주시가지의 모습
        1910년대 공주시가지의 모습
        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전면부에 수록된 도내 각지역의 대표사진 중 공주시가 전경사진이다. 오늘날 선교사 묘역 부근에서 공주영명학교와 3.1중앙공원, 시가지, 공산성, 금강 방향을 촬영한 것이다. 본 자료의 제목에 따르면 '공주시가지와 산성공원을 바라본 모습이고, 산성은 백제의 옛 성지이다. 더불어 공주는 충청남도 도청의 소재지이다.'라고 적혀있다.…
        • 등록번호 : 200057358
        • 생산일자 : 1910년대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근대유적>선교사가옥
      • 1910년대 공주시가지의 모습
        1910년대 공주시가지의 모습
        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전면부에 수록된 도내 각지역의 대표사진 중 공주시가 전경사진이다. 오늘날 선교사 묘역 부근에서 공주영명학교와 3.1중앙공원, 시가지, 공산성, 금강 방향을 촬영한 것이다. 본 자료의 제목에 따르면 '공주시가지와 산성공원을 바라본 모습이고, 산성은 백제의 옛 성지이다. 더불어 공주는 충청남도 도청의 소재지이다.'라고 적혀있다.…
    • 1910년대 공주시가지의 모습
      • 200057358
        1910년대 공주시가지의 모습
      • 1917년 충청남도 내 각지 이정표
        1917년 충청남도 내 각지 이정표
        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전면부에 수록된 도내 군청 및 각 지역 간 이정표이다. 본 자료에 따르면 공주에서 대전까지는 9.31리이고, 부여까지는 8.14리로 표시되어있다.
        • 등록번호 : 600000833
        • 생산일자 : 1917.00.00
        • 형태 : 박물류>도면
        • 주제 : 총류>총론(혼합)
      • 1917년 충청남도 내 각지 이정표
        1917년 충청남도 내 각지 이정표
        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전면부에 수록된 도내 군청 및 각 지역 간 이정표이다. 본 자료에 따르면 공주에서 대전까지는 9.31리이고, 부여까지는 8.14리로 표시되어있다.
    • 1917년 충청남도 내 각지 이정표
      • 600000833
        1917년 충청남도 내 각지 이정표
      • 1917년 충청남도 생산물산액비교
        1917년 충청남도 생산물산액비교
        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전면부에 수록된 도내 생산물산액 비교표이다. 농산액과 공산액, 임산액, 광산액, 수산액 총 5개 부분에 대한 그래프가 기록되어 있으며 가장 많은 생산액을 차지하는 부분은 농산물로 총 26,509,233円이다. 농산물 중 가장 많은 생산물은 쌀이었고, 그 뒤를 이어 보리와 콩 등의 순이다.
        • 등록번호 : 600000832
        • 생산일자 : 1917.00.00
        • 형태 : 박물류>도면
        • 주제 : 총류>총론(혼합)
      • 1917년 충청남도 생산물산액비교
        1917년 충청남도 생산물산액비교
        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전면부에 수록된 도내 생산물산액 비교표이다. 농산액과 공산액, 임산액, 광산액, 수산액 총 5개 부분에 대한 그래프가 기록되어 있으며 가장 많은 생산액을 차지하는 부분은 농산물로 총 26,509,233円이다. 농산물 중 가장 많은 생산물은 쌀이었고, 그 뒤를 이어 보리와 콩 등의 순이다.
    • 1917년 충청남도 생산물산액비교
      • 600000832
        1917년 충청남도 생산물산액비교
      • 1917년 충청남도 군별 권역도
        1917년 충청남도 군별 권역도
        1917년 충청남도 군별 권역도이다. 지역의 각종 산업(농업, 공업, 임업, 수산업, 광산업)과 인구통계, 대표지역 사진 등을 조사하여 제작한 충청남도 도세일반의 표지로 활용되었다.
        • 등록번호 : 600000831
        • 생산일자 : 1917.00.00
        • 형태 : 박물류>도면
        • 주제 : 총류>총론(혼합)
      • 1917년 충청남도 군별 권역도
        1917년 충청남도 군별 권역도
        1917년 충청남도 군별 권역도이다. 지역의 각종 산업(농업, 공업, 임업, 수산업, 광산업)과 인구통계, 대표지역 사진 등을 조사하여 제작한 충청남도 도세일반의 표지로 활용되었다.
    • 1917년 충청남도 군별 권역도
      • 600000831
        1917년 충청남도 군별 권역도
      • 1:400,000 충청남도약도
        1:400,000 충청남도약도
        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전면부에 수록된 1:400,000 축척의 지도이다. 충청남도 관할구역의 범위가 도서지역까지 자세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재판소 주제지와 군청의 위치, 우편국과 경찰서 위치까지 자세히 기록되어있다.
        • 등록번호 : 600000830
        • 생산일자 : 1917.00.00
        • 형태 : 박물류>도면
        • 주제 : 지리,환경>위치(영역)
      • 1:400,000 충청남도약도
        1:400,000 충청남도약도
        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전면부에 수록된 1:400,000 축척의 지도이다. 충청남도 관할구역의 범위가 도서지역까지 자세하게 표현되어 있으며, 재판소 주제지와 군청의 위치, 우편국과 경찰서 위치까지 자세히 기록되어있다.
    • 1:400,000 충청남도약도
      • 600000830
        1:400,000 충청남도약도
      • 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1917년 충청남도 지역의 각종 산업(농업, 공업, 임업, 수산업, 광산업)과 인구통계, 대표지역 사진 등을 조사하여 제작한 통계자료이다. / 1. 충남 각 지역 간 거리표 / 2. 경찰통계 / 3. 기상통계 / 4. 토지통계 / 5. 호구통계 / 6. 교육통계 / 7. 종교통계 / 8. 각종 산업 통계(농업-임업-광업-수산업-상공업-금융기관) / 9.…
        • 등록번호 : 600000829
        • 생산일자 : 1917.00.00
        • 형태 : 박물류>도면
        • 주제 : 총류>총론(혼합)
      • 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1917년 충청남도 지역의 각종 산업(농업, 공업, 임업, 수산업, 광산업)과 인구통계, 대표지역 사진 등을 조사하여 제작한 통계자료이다. / 1. 충남 각 지역 간 거리표 / 2. 경찰통계 / 3. 기상통계 / 4. 토지통계 / 5. 호구통계 / 6. 교육통계 / 7. 종교통계 / 8. 각종 산업 통계(농업-임업-광업-수산업-상공업-금융기관) / 9.…
    • 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
      • 600000829
        1917년 충청남도 도세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