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일반검색

검색안내

검색결과 : 103
  • 출처분류  업체
  • 주제분류  역사,유적,인물
      • 심상고등소학교 부지 내에서 발견된 백제시대 벽돌
        심상고등소학교 부지 내에서 발견된 백제시대 벽돌
        1927년 고적조사보고서 제2책에 수록된 공주 송산리고분군에 대한 본격 발굴 조사 이전에 일대에서 진행한 시굴조사 과정에서 발견된 백제시대 벽돌의 일부이다.
        • 등록번호 : 200047484
        • 생산일자 : 1927.03.30
        • 형태 : 사진류>사진 기타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심상고등소학교 부지 내에서 발견된 백제시대 벽돌
        심상고등소학교 부지 내에서 발견된 백제시대 벽돌
        1927년 고적조사보고서 제2책에 수록된 공주 송산리고분군에 대한 본격 발굴 조사 이전에 일대에서 진행한 시굴조사 과정에서 발견된 백제시대 벽돌의 일부이다.
    • 심상고등소학교 부지 내에서 발견된 백제시대 벽돌
      • 200047484
        심상고등소학교 부지 내에서 발견된 백제시대 벽돌
      • 1927년 송산리고분군 전경
        1927년 송산리고분군 전경
        1927년 고적조사보고서 제2책에 수록된 공주 송산리고분군 전경사진이다.
        • 등록번호 : 200047483
        • 생산일자 : 1927.03.30
        • 형태 : 사진류>사진 기타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1927년 송산리고분군 전경
        1927년 송산리고분군 전경
        1927년 고적조사보고서 제2책에 수록된 공주 송산리고분군 전경사진이다.
    • 1927년 송산리고분군 전경
      • 200047483
        1927년 송산리고분군 전경
      • 무릉
        무릉
        1927년 고적조사보고서 제2책에 수록된 공주 송산리고분군 주변의 무릉이다.
        • 등록번호 : 200047482
        • 생산일자 : 1927.03.30
        • 형태 : 사진류>사진 기타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무릉
        무릉
        1927년 고적조사보고서 제2책에 수록된 공주 송산리고분군 주변의 무릉이다.
    • 무릉
      • 200047482
        무릉
      • 나란한 능선에 위치한 송산리 1호분과 2호분
        나란한 능선에 위치한 송산리 1호분과 2호분
        1927년 고적조사보고서 제2책에 수록된 공주 송산리고분군의 1호분과 2호분이 주능선을 따라 나란히 위치한 것을 기록한 사진이다.
        • 등록번호 : 200047481
        • 생산일자 : 1927.03.30
        • 형태 : 사진류>사진 기타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나란한 능선에 위치한 송산리 1호분과 2호분
        나란한 능선에 위치한 송산리 1호분과 2호분
        1927년 고적조사보고서 제2책에 수록된 공주 송산리고분군의 1호분과 2호분이 주능선을 따라 나란히 위치한 것을 기록한 사진이다.
    • 나란한 능선에 위치한 송산리 1호분과 2호분
      • 200047481
        나란한 능선에 위치한 송산리 1호분과 2호분
      • 공주 금정 제1호분 입구의 모습
        공주 금정 제1호분 입구의 모습
        1927년 고적조사보고서 제2책에 수록된 공주 송산리고분군 일대에 위치한 금정 제1호분의 입구부분 사진이다.
        • 등록번호 : 200047480
        • 생산일자 : 1927.03.30
        • 형태 : 사진류>사진 기타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공주 금정 제1호분 입구의 모습
        공주 금정 제1호분 입구의 모습
        1927년 고적조사보고서 제2책에 수록된 공주 송산리고분군 일대에 위치한 금정 제1호분의 입구부분 사진이다.
    • 공주 금정 제1호분 입구의 모습
      • 200047480
        공주 금정 제1호분 입구의 모습
      • 1911년 공주잠업전습소의 좌수조사법 강습 장면
        1911년 공주잠업전습소의 좌수조사법 강습 장면
        1911년 10월 20일 공주잠업전습소에서 진행한 좌수조사법 강습장면이다. 당시 충청남도 일원에서는 양잠사업을 장려하여 37개군에서 각 주민을 선별하여 공주에 설치된 잠업전습소에서 공동으로 잠업제사실습을 시행하였다. 사진의 뒷면에 이러한 내용을 담아 기재해 두었다.
        • 등록번호 : 200057743
        • 생산일자 : 1911.10.20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역사,유적,인물>역사>일제강점기
      • 1911년 공주잠업전습소의 좌수조사법 강습 장면
        1911년 공주잠업전습소의 좌수조사법 강습 장면
        1911년 10월 20일 공주잠업전습소에서 진행한 좌수조사법 강습장면이다. 당시 충청남도 일원에서는 양잠사업을 장려하여 37개군에서 각 주민을 선별하여 공주에 설치된 잠업전습소에서 공동으로 잠업제사실습을 시행하였다. 사진의 뒷면에 이러한 내용을 담아 기재해 두었다.
    • 1911년 공주잠업전습소의 좌수조사법 강습 장면
      • 200057743
        1911년 공주잠업전습소의 좌수조사법 강습 장면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0. 불감세부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0. 불감세부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현실 벽면에 조형된 등감의 모습을 자세히 촬영한 것이다.
        • 등록번호 : 200057170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0. 불감세부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0. 불감세부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현실 벽면에 조형된 등감의 모습을 자세히 촬영한 것이다.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0. 불감세부
      • 200057170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0. 불감세부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9. 현실 내 북벽에 위치한 현무벽화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9. 현실 내 북벽에 위치한 현무벽화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현실 북벽에 그려진 현무벽화의 모습이다.
        • 등록번호 : 200057169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9. 현실 내 북벽에 위치한 현무벽화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9. 현실 내 북벽에 위치한 현무벽화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현실 북벽에 그려진 현무벽화의 모습이다.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9. 현실 내 북벽에 위치한 현무벽화
      • 200057169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9. 현실 내 북벽에 위치한 현무벽화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8. 현실 내 남벽에 위치한 주작벽화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8. 현실 내 남벽에 위치한 주작벽화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현실 남벽에 그려진 주작벽화의 모습이다.
        • 등록번호 : 200057168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8. 현실 내 남벽에 위치한 주작벽화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8. 현실 내 남벽에 위치한 주작벽화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현실 남벽에 그려진 주작벽화의 모습이다.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8. 현실 내 남벽에 위치한 주작벽화
      • 200057168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8. 현실 내 남벽에 위치한 주작벽화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7. 현실 내 서벽에 위치한 백호벽화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7. 현실 내 서벽에 위치한 백호벽화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 서벽에 그려진 백호벽화의 모습이다.
        • 등록번호 : 200057167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7. 현실 내 서벽에 위치한 백호벽화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7. 현실 내 서벽에 위치한 백호벽화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 서벽에 그려진 백호벽화의 모습이다.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7. 현실 내 서벽에 위치한 백호벽화
      • 200057167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7. 현실 내 서벽에 위치한 백호벽화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6. 현실 내 동벽에 위치한 청룡벽화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6. 현실 내 동벽에 위치한 청룡벽화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 동벽에 그려진 청룡벽화의 모습이다.
        • 등록번호 : 200057166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6. 현실 내 동벽에 위치한 청룡벽화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6. 현실 내 동벽에 위치한 청룡벽화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 동벽에 그려진 청룡벽화의 모습이다.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6. 현실 내 동벽에 위치한 청룡벽화
      • 200057166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6. 현실 내 동벽에 위치한 청룡벽화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5. 연도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5. 연도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에서 연도를 촬영한 자료이다.
        • 등록번호 : 200057165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5. 연도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5. 연도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현실 내에서 연도를 촬영한 자료이다.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5. 연도
      • 200057165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5. 연도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4. 연도전벽내측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4. 연도전벽내측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연도 내에서 촬영한 전벽 내측부의 모습이다. 벽돌의 문양이 온전하게 남아있는 것이 특징이다.
        • 등록번호 : 200057164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4. 연도전벽내측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4. 연도전벽내측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연도 내에서 촬영한 전벽 내측부의 모습이다. 벽돌의 문양이 온전하게 남아있는 것이 특징이다.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4. 연도전벽내측
      • 200057164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4. 연도전벽내측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3. 연도전벽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3. 연도전벽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연도의 앞쪽 벽면 모습이다. 배수관과 함께 연도의 벽면 보존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 등록번호 : 200057163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3. 연도전벽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3. 연도전벽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조사 당시 촬영한 연도의 앞쪽 벽면 모습이다. 배수관과 함께 연도의 벽면 보존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3. 연도전벽
      • 200057163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3. 연도전벽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2. 배수관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2. 배수관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배수관의 모습이다. 벽돌로 배수관이 조형된 모습에서 6호분이 전축분이라는 특성을 엿 볼 수 있다.
        • 등록번호 : 200057162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2. 배수관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2. 배수관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 당시 촬영한 배수관의 모습이다. 벽돌로 배수관이 조형된 모습에서 6호분이 전축분이라는 특성을 엿 볼 수 있다.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2. 배수관
      • 200057162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2. 배수관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 전경모습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 전경모습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 중심의 발굴조사가 진행된 후 정비가 이뤄진 고분군 일원의 모습이다. 오늘날 공주보가 조성된 금강 하류부근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무령왕릉 동북쪽 사면에서 촬영한 사진으로 추정된다.
        • 등록번호 : 200057161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 전경모습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 전경모습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 중심의 발굴조사가 진행된 후 정비가 이뤄진 고분군 일원의 모습이다. 오늘날 공주보가 조성된 금강 하류부근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무령왕릉 동북쪽 사면에서 촬영한 사진으로 추정된다.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 전경모습
      • 200057161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 1. 전경모습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해설문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해설문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이 발굴을 진행한 후 정돈된 모습을 촬영하여 사진집으로 간행한 자료의 해설문이다. 경부자은이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본 해설문에 따르면, '송산리 제6호분은 공주읍의 서북쪽 1개 지점에 있으며, 부근 일대 구릉은 백제시대에 고분지대를 이룬 곳이다. 1933.08.01에 발견된 이 고분은 전축분의 형상이며…
        • 등록번호 : 200057160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사진류>사진 기타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해설문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해설문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이 발굴을 진행한 후 정돈된 모습을 촬영하여 사진집으로 간행한 자료의 해설문이다. 경부자은이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본 해설문에 따르면, '송산리 제6호분은 공주읍의 서북쪽 1개 지점에 있으며, 부근 일대 구릉은 백제시대에 고분지대를 이룬 곳이다. 1933.08.01에 발견된 이 고분은 전축분의 형상이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해설문
      • 200057160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 해설문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봉투)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봉투)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이 이뤄진 후 정돈된 모습을 촬영하여 사진집으로 간행한 자료의 봉투이다. 공주에 있는 사토사진관(佐藤사진관)에서 발행하였다. 황색에 은박으로 문양 및 글자를 입혔으며, 앞면에는 '공주송산리제6호분 백제왕릉사진'이라고 쓰여 있다.
        • 등록번호 : 200057159
        • 생산일자 : 1930.00.00
        • 형태 : 사진류>사진 기타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백제(고분)유적>송산리고분군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봉투)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봉투)
        1933.08.01, 송산리고분군 제6호분이 경부자은에 의한 발굴이 이뤄진 후 정돈된 모습을 촬영하여 사진집으로 간행한 자료의 봉투이다. 공주에 있는 사토사진관(佐藤사진관)에서 발행하였다. 황색에 은박으로 문양 및 글자를 입혔으며, 앞면에는 '공주송산리제6호분 백제왕릉사진'이라고 쓰여 있다.
    •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봉투)
      • 200057159
        공주 송산리6호분 백제왕릉사진집(봉투)
      • 1956년 국립박물관 공주분관 선화당
        1956년 국립박물관 공주분관 선화당
        1956년 국립박물관 공주분관(現 충남역사박물관) 선화당과 정원의 모습이다. 본래 선화당은 봉황산 아래에 위치한 충청감영의 관찰사 집무실이었다. 경술국치 이후 충남도청의 도지사 집무실로 활용되던 중 도청의 이전과 박물관 건립을 이유로 오늘날 충남역사박물관의 위치로 이전되었다. 광복 이후 시설의 노후화와 신축박물관 건설의 영향으로 멸실되었으나, 웅진동…
        • 등록번호 : 200057388
        • 생산일자 : 1957.03.00
        • 형태 : 사진류>사진 기타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1956년 국립박물관 공주분관 선화당
        1956년 국립박물관 공주분관 선화당
        1956년 국립박물관 공주분관(現 충남역사박물관) 선화당과 정원의 모습이다. 본래 선화당은 봉황산 아래에 위치한 충청감영의 관찰사 집무실이었다. 경술국치 이후 충남도청의 도지사 집무실로 활용되던 중 도청의 이전과 박물관 건립을 이유로 오늘날 충남역사박물관의 위치로 이전되었다. 광복 이후 시설의 노후화와 신축박물관 건설의 영향으로 멸실되었으나, 웅진동…
    • 1956년 국립박물관 공주분관 선화당
      • 200057388
        1956년 국립박물관 공주분관 선화당
      • 1956년 앵산공원 팔각정
        1956년 앵산공원 팔각정
        1956년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위치한 팔각정의 모습이다. 오늘날 팔각정은 소실되었고, 해당 위치에 1980년대 공산성 임류각지 부근에서 옮겨온 4.19학생혁명기념탑과 2019년에 설치한 유관순 열사 동상이 있다.
        • 등록번호 : 200057386
        • 생산일자 : 1957.03.00
        • 형태 : 사진류>사진 기타
        • 주제 : 역사,유적,인물>유적(유물)>기타
      • 1956년 앵산공원 팔각정
        1956년 앵산공원 팔각정
        1956년 앵산공원(現 3.1중앙공원)에 위치한 팔각정의 모습이다. 오늘날 팔각정은 소실되었고, 해당 위치에 1980년대 공산성 임류각지 부근에서 옮겨온 4.19학생혁명기념탑과 2019년에 설치한 유관순 열사 동상이 있다.
    • 1956년 앵산공원 팔각정
      • 200057386
        1956년 앵산공원 팔각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