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단 메뉴 바로가기
  2. 본문 바로가기

일반검색

검색안내

검색결과 : 412
  • 출처분류  개인
  • 주제분류  총류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물재 이원구 시비 (2)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물재 이원구 시비 (2)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물재 이원구(勿齋 李元九) 시비 모습이다. 이원구는 1950년대 초, 공주사범대학에 재직하면서 시회를 주관하여 공주 지역 문화발전에 초석을 놓았다. 시비는 1996년 11월 15일 공주공설운동장 길 건너편 조각공원에 세워졌다. 시비의 앞면에 이원구의 시 '종'이 새겨져 있다.…
        • 등록번호 : 200059712
        • 생산일자 : 2001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총류>시,군지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물재 이원구 시비 (2)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물재 이원구 시비 (2)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물재 이원구(勿齋 李元九) 시비 모습이다. 이원구는 1950년대 초, 공주사범대학에 재직하면서 시회를 주관하여 공주 지역 문화발전에 초석을 놓았다. 시비는 1996년 11월 15일 공주공설운동장 길 건너편 조각공원에 세워졌다. 시비의 앞면에 이원구의 시 '종'이 새겨져 있다.…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물재 이원구 시비 (2)
      • 200059712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물재 이원구 시비 (2)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물재 이원구 시비 (1)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물재 이원구 시비 (1)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물재 이원구(勿齋 李元九) 시비 모습이다. 이원구는 1950년대 초, 공주사범대학에 재직하면서 시회를 주관하여 공주 지역 문화발전에 초석을 놓았다. 시비는 1996년 11월 15일 공주공설운동장 길 건너편 조각공원에 세워졌다. 시비의 앞면에 이원구의 시 '종'이 새겨져 있다.…
        • 등록번호 : 200059711
        • 생산일자 : 2001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총류>시,군지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물재 이원구 시비 (1)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물재 이원구 시비 (1)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물재 이원구(勿齋 李元九) 시비 모습이다. 이원구는 1950년대 초, 공주사범대학에 재직하면서 시회를 주관하여 공주 지역 문화발전에 초석을 놓았다. 시비는 1996년 11월 15일 공주공설운동장 길 건너편 조각공원에 세워졌다. 시비의 앞면에 이원구의 시 '종'이 새겨져 있다.…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물재 이원구 시비 (1)
      • 200059711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물재 이원구 시비 (1)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작품 (2)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작품 (2)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작품 전시 모습으로, 돌산의 모습을 형상화 했다.
        • 등록번호 : 200059710
        • 생산일자 : 2001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총류>시,군지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작품 (2)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작품 (2)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작품 전시 모습으로, 돌산의 모습을 형상화 했다.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작품 (2)
      • 200059710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작품 (2)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동학혁명군 위령탑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동학혁명군 위령탑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우금치 전적지에 건립된 동학혁명군 위령탑으로 이 탑은 1973년 11월 11일 건립되었다.
        • 등록번호 : 200059709
        • 생산일자 : 2001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총류>시,군지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동학혁명군 위령탑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동학혁명군 위령탑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우금치 전적지에 건립된 동학혁명군 위령탑으로 이 탑은 1973년 11월 11일 건립되었다.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동학혁명군 위령탑
      • 200059709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동학혁명군 위령탑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성동의 곰상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성동의 곰상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금성동에 있는 금강교 부근에 위치한 청동 곰상이다.
        • 등록번호 : 200059708
        • 생산일자 : 2001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총류>시,군지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성동의 곰상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성동의 곰상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금성동에 있는 금강교 부근에 위치한 청동 곰상이다.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성동의 곰상
      • 200059708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성동의 곰상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공주 의당 금동보살입상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공주 의당 금동보살입상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공주 의당 금동보살입상 모습으로 책 속의 사진을 다시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이 유물은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송정리의 절터에서 발견되었으며 현재 국립공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1989년 4월 10일 국보 제247호로 지정되었다.
        • 등록번호 : 200059707
        • 생산일자 : 2001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총류>시,군지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공주 의당 금동보살입상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공주 의당 금동보살입상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공주 의당 금동보살입상 모습으로 책 속의 사진을 다시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이 유물은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송정리의 절터에서 발견되었으며 현재 국립공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1989년 4월 10일 국보 제247호로 지정되었다.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공주 의당 금동보살입상
      • 200059707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공주 의당 금동보살입상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NH농협은행 공주시지부 정문의 곰상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NH농협은행 공주시지부 정문의 곰상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NH농협은행 공주시지부 정문에 있는 곰상의 모습으로, 충청남도 공주시 중동 180에 있다.
        • 등록번호 : 200059706
        • 생산일자 : 2001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총류>시,군지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NH농협은행 공주시지부 정문의 곰상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NH농협은행 공주시지부 정문의 곰상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NH농협은행 공주시지부 정문에 있는 곰상의 모습으로, 충청남도 공주시 중동 180에 있다.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NH농협은행 공주시지부 정문의 곰상
      • 200059706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NH농협은행 공주시지부 정문의 곰상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감지은니묘법연화경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감지은니묘법연화경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사진 속 유물은 감지은니묘법연화경으로 마곡사에 소장되어 있으며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한다.
        • 등록번호 : 200059705
        • 생산일자 : 2001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총류>시,군지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감지은니묘법연화경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감지은니묘법연화경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사진 속 유물은 감지은니묘법연화경으로 마곡사에 소장되어 있으며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한다.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감지은니묘법연화경
      • 200059705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감지은니묘법연화경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탄천면 송학리 지덕골 마애여래좌상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탄천면 송학리 지덕골 마애여래좌상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탄천면 송학리 지덕골 마애여래좌상 모습이다. 고려 전기 마애불로 높이 3m 내외의 바위 중앙에 좌상으로 조성되어 있다.
        • 등록번호 : 200059704
        • 생산일자 : 2001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총류>시,군지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탄천면 송학리 지덕골 마애여래좌상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탄천면 송학리 지덕골 마애여래좌상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탄천면 송학리 지덕골 마애여래좌상 모습이다. 고려 전기 마애불로 높이 3m 내외의 바위 중앙에 좌상으로 조성되어 있다.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탄천면 송학리 지덕골 마애여래좌상
      • 200059704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탄천면 송학리 지덕골 마애여래좌상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강자연설치미술전 (4)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강자연설치미술전 (4)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2000년 7월 20일부터 8월 30일까지 공산성 일원에서 진행한 금강자연설치미술전 출품 작품이다.
        • 등록번호 : 200059703
        • 생산일자 : 2001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총류>시,군지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강자연설치미술전 (4)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강자연설치미술전 (4)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2000년 7월 20일부터 8월 30일까지 공산성 일원에서 진행한 금강자연설치미술전 출품 작품이다.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강자연설치미술전 (4)
      • 200059703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강자연설치미술전 (4)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장선리 유적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장선리 유적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장선리 토실 유적 전경으로,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장선리에 있다. 장선리 토실유적은 2001년 9월 11일 사적 제433호로 지정되었다.
        • 등록번호 : 200059702
        • 생산일자 : 2001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총류>시,군지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장선리 유적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장선리 유적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장선리 토실 유적 전경으로,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장선리에 있다. 장선리 토실유적은 2001년 9월 11일 사적 제433호로 지정되었다.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장선리 유적
      • 200059702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장선리 유적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중동 석조 및 반죽동 석조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중동 석조 및 반죽동 석조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중동 석조 및 반죽동 석조이다. 이 석조들은 대통사지의 금당지와 강당지 사이에 있었던 백제의 유물이다. 현재 국립공주박물관에 소재하고 있으며 보물 제148호, 제149호로 지정되었다.
        • 등록번호 : 200059701
        • 생산일자 : 2001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총류>시,군지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중동 석조 및 반죽동 석조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중동 석조 및 반죽동 석조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중동 석조 및 반죽동 석조이다. 이 석조들은 대통사지의 금당지와 강당지 사이에 있었던 백제의 유물이다. 현재 국립공주박물관에 소재하고 있으며 보물 제148호, 제149호로 지정되었다.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중동 석조 및 반죽동 석조
      • 200059701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중동 석조 및 반죽동 석조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산의리 유적 석관묘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산의리 유적 석관묘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산의리 유적에서 발견된 석관묘이다. 산의리 유적은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산의리에 위치하고 청동기 시대 유적이다.
        • 등록번호 : 200059700
        • 생산일자 : 2001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총류>시,군지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산의리 유적 석관묘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산의리 유적 석관묘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산의리 유적에서 발견된 석관묘이다. 산의리 유적은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산의리에 위치하고 청동기 시대 유적이다.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산의리 유적 석관묘
      • 200059700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산의리 유적 석관묘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산의리 유적 옹관묘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산의리 유적 옹관묘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산의리 유적에서 발견된 옹관묘이다. 산의리 유적은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산의리에 위치하고 청동기 시대 유적이다.
        • 등록번호 : 200059699
        • 생산일자 : 2001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총류>시,군지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산의리 유적 옹관묘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산의리 유적 옹관묘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산의리 유적에서 발견된 옹관묘이다. 산의리 유적은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산의리에 위치하고 청동기 시대 유적이다.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산의리 유적 옹관묘
      • 200059699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산의리 유적 옹관묘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석장리 구석기유적 (2)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석장리 구석기유적 (2)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석장리 구석기유적 발굴조사 현장 모습이다. 석장리 유적지는 남한 지역에서 최초로 발견된 구석기 시대 유적지이다.
        • 등록번호 : 200059698
        • 생산일자 : 2001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총류>시,군지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석장리 구석기유적 (2)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석장리 구석기유적 (2)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석장리 구석기유적 발굴조사 현장 모습이다. 석장리 유적지는 남한 지역에서 최초로 발견된 구석기 시대 유적지이다.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석장리 구석기유적 (2)
      • 200059698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석장리 구석기유적 (2)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학동 고분군 출토 유물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학동 고분군 출토 유물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금학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이다. 이 사진은 책 속의 사진을 다시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 등록번호 : 200059697
        • 생산일자 : 2001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총류>시,군지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학동 고분군 출토 유물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학동 고분군 출토 유물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으로, 금학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이다. 이 사진은 책 속의 사진을 다시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학동 고분군 출토 유물
      • 200059697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학동 고분군 출토 유물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학동 고분군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학동 고분군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금학동고분군 7호묘 전경으로 2004년 4월 10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68호로 지정되었다. 이 사진은 책 속의 사진을 다시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 등록번호 : 200059696
        • 생산일자 : 2001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총류>시,군지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학동 고분군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학동 고분군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금학동고분군 7호묘 전경으로 2004년 4월 10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68호로 지정되었다. 이 사진은 책 속의 사진을 다시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이다.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학동 고분군
      • 200059696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금학동 고분군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계룡산 신도내 주초석석재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계룡산 신도내 주초석석재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사진 속 돌은 계룡산 신도내 주초석으로 1976년 6월 9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6호로 지정되었다. 이 곳에는 조선 왕조를 세운 태조 이성계가 신도안을 도읍 후보지로 결정하여 도로 건설 공사를 하기 위해 석재 등을 운반해 놓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등록번호 : 200059695
        • 생산일자 : 2001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총류>시,군지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계룡산 신도내 주초석석재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계룡산 신도내 주초석석재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사진 속 돌은 계룡산 신도내 주초석으로 1976년 6월 9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6호로 지정되었다. 이 곳에는 조선 왕조를 세운 태조 이성계가 신도안을 도읍 후보지로 결정하여 도로 건설 공사를 하기 위해 석재 등을 운반해 놓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계룡산 신도내 주초석석재
      • 200059695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계룡산 신도내 주초석석재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작품 (1)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작품 (1)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돌을 이용한 모자이크로 발바닥을 형상화한 작품 전시 모습이다.
        • 등록번호 : 200059694
        • 생산일자 : 2001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총류>시,군지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작품 (1)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작품 (1)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돌을 이용한 모자이크로 발바닥을 형상화한 작품 전시 모습이다.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작품 (1)
      • 200059694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작품 (1)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국립공주대학교 신관캠퍼스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국립공주대학교 신관캠퍼스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국립공주대학교 신관캠퍼스 전경이다. 신관캠퍼스 주변 시가지도 함께 보인다.
        • 등록번호 : 200059693
        • 생산일자 : 2001
        • 형태 : 사진류>필름사진
        • 주제 : 총류>시,군지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국립공주대학교 신관캠퍼스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국립공주대학교 신관캠퍼스
        2002년 2월 28일에 공주시지편찬위원회가 발행한 공주시지에 활용된 사진이다. 국립공주대학교 신관캠퍼스 전경이다. 신관캠퍼스 주변 시가지도 함께 보인다.
    •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국립공주대학교 신관캠퍼스
      • 200059693
        2002 공주시지 활용 사진 - 국립공주대학교 신관캠퍼스